업무나 상업적 프로젝트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고성능 AI 콘텐츠 제작 도구들을 분야별로 정리해 봤습니다.
각 도구는 웹 기반 또는 데스크탑 앱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일부 유료 프리미엄 도구도 포함했고,
특히 한국어 사용이 가능한 툴을 중심으로 선정하고, 도구별로 플랫폼, 한국어 지원 여부, 라이선스 형태, 주요 기능, 장단점, 그리고 적합한 사용자를 함께 정리하였습니다.
필요에 따라 각 분야별 비교표와 항목별 특징 리스트를 제공하여 빠르게 핵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니 AI 툴 사용으로 고민이 많으신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4. 영상 생성 및 편집 AI 도구 (애니메이션, 숏폼 영상, 홍보 영상 등)
영상 분야에서는 텍스트를 바로 동영상으로 만들어주는 생성 AI부터 기존 영상 편집을 자동화해주는 도구까지 다양한 솔루션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완전한 텍스트 to 비디오 생성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짧은 광고 영상이나 설명 동영상 등을 자동화하는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 아래 도구들은 업무/마케팅용 영상 제작에 유용한 AI 툴들입니다.
A. Synthesia (신세시아) – 웹 기반, 한국어 지원, 유료(월 구독)
▷ 플랫폼/특징: Synthesia는 텍스트를 넣으면 **AI 아바타(가상 연기자)**가 해당 내용을 말하는 영상을 생성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브라우저 상에서 제공되며 별도의 편집 기술 없이도 프레젠터 영상, 교육 영상 등을 만들 수 있어 인기가 높습니다.
▷ 한국어 지원: 140개 이상의 언어로 음성과 자막을 지원하며 한국어도 포함됩니다 . 한국어 음성 합성의 품질이 높아 자연스러운 한국어 나레이션 영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제공되는 가상 배우의 얼굴은 주로 외국인 모델들입니다.
▷ 라이선스: 월 $30 정도의 구독 플랜이 있으며, 플랜에 따라 월간 생성 분량(예: 10분 분량 영상)을 제공합니다. 기업용으로 확장 기능과 커스텀 아바타(사용자 본인 또는 특정 인물의 AI 모델) 생성 서비스도 별도 비용으로 제공합니다.
▷ 핵심 기능: 다양한 템플릿에 텍스트만 입력하면 인물 영상을 만들어줍니다. 120여 종 이상의 가상 배우 중 선택할 수 있고, 각 배우는 정면을 바라보며 사용자 텍스트를 또박또박 말합니다. 슬라이드형 영상 편집기가 내장되어 있어 장면별로 다른 배우나 배경, 텍스트 오버레이 등을 넣어 완성된 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 영상에서 여러 카메라 앵글(클로즈업 등) 변환이나 제스처 기능도 추가되었습니다.
▷ 장점: 실제 사람을 고용하거나 촬영할 필요 없이도 전문 프레젠터가 나오는 영상을 제작할 수 있어 교육, 마케팅용으로 각광받습니다. 특히 다국어 버전 영상을 쉽게 만들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국어로 대본 작성 후 영어, 중국어 등으로 자동 번역시켜 각 언어별로 같은 구성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결과 영상의 품질이 높고, 음성 합성도 감정 표현은 제한적이지만 꽤 자연스러운 편입니다.
▷ 단점: 배우의 표정이나 몸짓이 다소 제한적이어서 다양한 연기 연출은 어렵습니다. 기본 제공 아바타 외에 특정 인물의 얼굴을 쓰려면 별도 비용으로 해당 사람을 AI모델 학습시켜야 하며, 이는 기업 플랜에서나 가능합니다. 또한 자유 영상 생성이 아니므로 실사 촬영처럼 카메라 움직임이 있거나 실외 장면을 배우가 걷는 등의 동적인 영상 연출은 불가합니다. 가격도 1인당 월 구독료가 있어 소규모에 부담일 수 있습니다.
▷ 추천 대상: 기업 홍보/교육 담당자, 이러닝 콘텐츠 제작자에게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신입사원 교육 영상을 다국어로 만들거나, 제품 사용 설명 영상을 여러 버전으로 제작하는 등 사람을 촬영하는 대신 Synthesia를 쓰면 효율적입니다. 또한 스타트업 마케팅 영상에서 대표가 직접 나와 설명하는 것 대신 AI 대변인 영상을 사용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B. DeepBrain AI Studios (딥브레인 AI 스튜디오) – 웹 기반, 한국어 지원, 유료(월 구독)
▷ 플랫폼/특징: DeepBrain AI는 한국 스타트업이 개발한 AI 휴먼 영상 생성 플랫폼으로, 기능적으로 Synthesia와 유사하지만 한국어 현지화에 강점이 있습니다. 웹 기반 에디터에서 템플릿을 선택하고 텍스트를 입력하면 AI 인간이 출연하는 영상을 제공합니다.
▷ 한국어 지원: 다수의 한국어 화자 음성과 한국인 얼굴 아바타를 보유하고 있어 현지화된 영상을 만드는데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 뉴스 앵커 스타일의 AI 휴먼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라이선스: 월 구독료(예: 기본 플랜 월 30만원대)로 사용하며, 영상 분량에 따라 과금됩니다. 엔터프라이즈용으로 특정 연예인이나 인물의 AI 휴먼을 제작해주는 서비스도 있습니다.
▷ 특징/장점: Synthesia 대비 한국어 발음과 억양이 더 자연스럽다는 평가가 있고, 로컬 사투리나 억양도 일부 지원합니다. 또한 금융권 키오스크 등 오프라인 무인창구에 이 기술을 적용한 사례도 있을 정도로 실시간 구동이 가능합니다. 단점으로는 전반적인 기능과 단점이 Synthesia와 비슷하며, 가격이 저렴하지 않습니다.
▷ 추천 대상: 국내 공공기관 홍보영상, 사내 교육영상 등에 많이 활용됩니다. 한국 시장 대상이라면 Synthesia보다 딥브레인 AI의 배우 모델이 친숙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C. Runway ML Gen2 (런웨이ML) – 웹 기반(클라우드), 한국어 UI 미지원, 부분 유료
▷ 플랫폼/특징: Runway ML은 크리에이티브 AI 편집 툴 모음이며, 그 중 Gen2 모델은 텍스트로부터 비디오를 직접 생성해 주는 혁신적인 기능입니다. 별도의 설치 없이 웹에서 사용하며, 짧은 영상 클립(몇 초 길이)을 만듭니다.
▷ 한국어 지원: 프롬프트는 영어로 입력해야 정확히 동작합니다. 한국어 인터페이스는 없지만 사용법이 직관적입니다.
▷ 라이선스: 무료 체험으로 몇 개의 클립을 생성해볼 수 있고, 그 이상은 유료 크레딧 충전이 필요합니다. Runway는 영상 편집/합성 등의 다른 기능도 포함된 통합 구독 모델도 있습니다.
▷ 핵심 기능: 짧은 동영상 클립 생성으로, 예를 들어 “봄 들판에서 바람에 흩날리는 꽃잎 (영상)” 같은 프롬프트를 주면 4~5초 분량의 영상을 합성해 줍니다. Gen2는 Gen1에 비해 입력 텍스트만으로 완전한 장면을 만들 수 있게 되었고, 간단한 애니메이션이나 카메라 이동 효과도 포함됩니다. 또한 이미지 또는 영상 입력+텍스트로 그 스타일을 바꾸는 모드도 있어, 예를 들어 스케치 영상 to 리얼풍 영상으로 변환 같은 활용도 가능합니다.
▷ 장점: 세계 최초 수준의 텍스트 투 비디오 상용화를 이뤘다는 의의가 있습니다. 사람의 개입 없이 AI가 영상 전체를 창작하기 때문에 영상 촬영이 어려운 판타지 장면이나 추상 개념 영상화에 도움이 됩니다. Runway의 편집 툴과 이어서 사용하면 생성한 영상을 합성하거나 길게 늘리는 등 후편집도 비교적 쉽습니다.
▷ 단점: 아직 기술이 초기라 '영상 해상도(현재 1024px 수준)'나 길이가 제한적이고, 결과 영상의 디테일이 완벽하지 않습니다. 움직임이 부자연하거나 피사체 모양이 흐릿한 경우도 있어 실제 프로덕션에 바로 쓰기에는 품질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사람 얼굴이나 글자같이 복잡한 요소는 잘 표현하지 못하고 기괴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추천 대상: 영상/광고 크리에이터, 예술가 등 새로운 형식의 실험적 영상 표현을 해보고자 하는 분들께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뮤직비디오의 추상 장면, 영화의 콘셉트 영상, 디자인 컨셉 시각화 등에 활용 가능하며, 결과를 후처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최종 효과를 얻는 창작 보조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D. Pictory (픽토리) – 웹 기반, 한국어 지원(자막 정도), 유료
▷ 플랫폼/특징: Pictory는 텍스트 기반 영상 자동 생성 도구로, 대본이나 기사 내용을 입력하면 그에 맞는 짧은 동영상을 자동 편집해 줍니다. 영상 편집 경험이 없는 마케터도 손쉽게 홍보 동영상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한국어 지원: 인터페이스는 영어이지만, 한국어로 된 스크립트를 넣으면 한글 자막을 달아 영상을 만들 수는 있습니다. 다만 매칭되는 스톡 영상이나 자막 디자인은 영어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어, 온전한 한국어 지원이라기보다는 다국어 처리 정도입니다.
▷ 라이선스: 월 구독제로 운영되며, 개인용 플랜 ~$19/월부터 시작합니다. 사용 가능한 스톡 영상/이미지 라이브러리 이용권이 포함됩니다.
▷ 핵심 기능: 기사 요약 영상이나 대본 기반 동영상 제작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블로그 글 URL을 넣으면 자동으로 요약하여 장면별로 나누고, 각 장면에 어울리는 스톡 영상 클립이나 이미지를 알아서 배치해 줍니다. 사용자는 제공된 클립을 다른 것으로 바꾸거나 텍스트를 조정하는 간단한 편집만 하면 됩니다. 또한 입력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내레이션 음성 합성 기능과 화면에 자막을 입히는 기능도 있습니다 . 최종적으로 SNS용 짧은 홍보 영상, 유튜브 요약본 등을 신속히 만들 수 있습니다.
▷ 장점: 사용이 매우 간편하여 비디오 편집을 모르는 사람도 몇 번의 클릭으로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수백만 개의 스톡 영상/이미지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므로, 일일이 장면을 찾는 수고를 덜어줍니다. 결과 영상도 템플릿을 통해 깔끔한 자막 디자인과 화면전환 효과를 주어 즉시 활용 가능한 품질로 만들어집니다. 긴 글을 자동 요약해 주는 기능도 있어 콘텐츠의 핵심만 추려 영상화하기 좋습니다.
▷ 단점: 생성된 영상의 다양성이 한정적입니다. 결국 스톡 footage를 조합하는 것이기에 독창적인 장면이 나오는 것은 아니며, 테마가 비슷한 영상들은 결과물이 비슷비슷해질 수 있습니다 . 또한 한국어 음성의 감정 표현이나 억양이 로봇 같을 수 있고, 자동 요약이 완벽하지 않아 가끔 문맥이 어색하게 편집되기도 합니다. 전문 편집 소프트만큼 미세한 수정은 어려워 세부 연출을 통제하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 추천 대상: 마케팅/SNS 콘텐츠 관리자, 1인 기업가 등이 블로그 글을 영상으로 재활용하거나 제품 홍보 영상을 빠르게 제작하는 용도로 좋습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에 올린 제품 설명을 1분짜리 요약 영상으로 만들어 페이스북에 올리는 등 콘텐츠 리포지셔닝에 유용합니다.
E. Descript (디스크립트) – 데스크탑 앱+웹, 한국어 부분 지원, 무료+유료
▷ 플랫폼/특징: Descript는 동영상/팟캐스트 편집 도구로, AI를 활용한 텍스트 기반 편집으로 유명합니다. 영상 생성 도구는 아니지만 업무용 영상 편집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여주기에 함께 소개합니다.
▷ 한국어 지원: UI는 영어이며, 한국어 영상의 자동 받아쓰기(transcription)은 가능하나 정확도는 영어보다 떨어집니다. 한국어 음성 합성(Overdub) 기능은 제한적입니다.
▷ 핵심 기능: 동영상이나 오디오를 불러오면 AI가 자동으로 글로 된 스크립트로 변환해줍니다. 사용자는 마치 문서 편집하듯이 글자를 지우거나 수정하여 영상의 해당 부분을 제거 또는 수정할 수 있습니다. 또 클립 재배열, 자막 입히기, 음 umms 제거 등이 자동화되어 있습니다. Overdub이라는 기능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AI로 학습시켜, 타이핑만으로도 해당 목소리로 녹음된 것처럼 새 오디오를 합성할 수도 있습니다.
▷ 장점: 인터뷰 영상이나 강연 영상 편집 시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거나 순서 변경을 매우 쉽게 할 수 있어 후반 편집 시간을 크게 단축합니다. 또한 음성 클로닝을 통해 잘못 말한 부분을 목소리로 다시 합성해 교체하거나, 자잘한 발음 실수를 교정하는 등 기존 편집으로는 불가능한 섬세한 수정이 가능합니다.
▷ 단점: 전문 영상 편집툴만큼 세세한 영상 효과나 색보정 등은 불가능하여, 영상 합성/모션 그래픽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한국어 작업의 경우 받아쓰기 정확도가 100%가 아니어서 수동 교정이 필요하며, 음성 클로닝 기능도 영어 위주로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추천 대상: 유튜브 편집자, 교육 영상 제작자 등 말이 많은 영상 콘텐츠를 다루는 분들께 추천됩니다. 인터뷰 자료를 편집하거나, 세일즈 팀의 데모 영상을 수정하는 등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영상 AI 도구 사용 전략: 완전한 텍스트 to 영상 생성은 아직 제약이 많으므로, 현실적으로는 부분 자동화 도구들을 조합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 대본 작성: ChatGPT로 홍보 영상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 영상 생성: Pictory로 해당 스크립트 기반 자동 영상을 뼈대 제작하고, Synthesia의 AI 아바타 클립을 일부 삽입해 사람 설명 장면을 만든다.
▷ 편집 마무리: Descript로 자잘한 편집과 자막 추가를 하고 완성한다.
이러한 식으로 활용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사람 손으로 만들 때보다 훨씬 신속하게 영상 콘텐츠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AI랑 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무용 고성능 AI 툴 / 5. 프레젠테이션 및 슬라이드 제작 AI 도구 (PPT 자동 생성) (1) | 2025.03.31 |
---|---|
업무용 고성능 AI 툴 / 3. 사진 생성 AI 도구 (포토리얼 이미지, 제품 사진 등) (1) | 2025.03.31 |
업무용 고성능 AI 툴 / 2. 그림 그리기 AI 도구 (일러스트레이션, 컨셉아트 등) (0) | 2025.03.31 |
업무용 고성능 AI 툴 / 1. 글쓰기 AI 도구 (카피라이팅, 기획안, 블로그 글 등) (1) | 2025.03.31 |
AI가 신문을 발행하는 시대. (0) | 2025.03.21 |